티스토리 뷰
목차
재산세 납부는 7월 31일까지 완료해야 합니다.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금이 붙어 추가 비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장기 미납을 하면 재산이 압류되기도 합니다. 재산세 납부 시 손실이 생기지 않는 방법과 납부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한 내에 납부해야 하는 이유
- 가산금 부과 : 기한을 넘기면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납부 기한을 넘기면 지방세액의 3% 가산금이 부과되어 경제적 손실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기한 내에 꼭 납부해야 합니다.
- 압류 가능성 : 장기적으로 미납할 경우, 해당 재산에 대한 압류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큰 부담일 될 수 있습니다.
- 신용도 하락 : 재산세 미납 기록은 신용 점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신용도가 낮아지면 대출, 신용카드 발급 등 금융 거래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용도 관리를 위해서라도 재산세를 제때 납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납기일
7월 16일 ~ 31일 : 주택의 1/2, 건축물, 선박, 항공기
9월 16일 ~ 30일 : 주택의 1/2, 토지
※ 주택분 재산세의 세액이 20만 원 이하면 7월에 전액 납부합니다.
재산세 납부 방법 4가지
재산세를 납부할 때는, 고지서에 기재된 납부 금액을 정확히 확인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 지방세는 납부취소가 되지 않습니다. 만약 이중 납부가 되었다면 해당 지방자치단체로 환급신청 해야 합니다.
- 인터넷 뱅킹 : 은행의 인터넷 뱅킹 시스템을 통해 손쉽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 모바일 뱅킹 :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편리하게 납부 가능합니다.
- 자동이체 : 정기적으로 자동이체를 설정하여 납부 기한을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은행 방문 : 가까운 은행을 직접 방문하여 납부할 수도 있습니다.
타인이 납부할 수 있는 방법
인터넷이나 모바일 뱅킹에서 타인이 납부할 수 있는 방법은 간편 납부번호로 조회하는 것입니다. 주로 '공과금' 메뉴를 찾고 '납부할 공과금 조회' 후 간편 납부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재산세의 종류
- 건축물 : 주택, 상가, 공장 등 건축물에 대해 부과되는 재산세입니다. 건축물의 종류, 크기, 용도, 위치 등에 따라 세금이 달라집니다.
- 토지 : 소유한 토지의 면적, 위치, 용도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 주택 : 주택의 별도의 항목으로 재산세가 부과되며, 단독주택, 공동주택(아파트 등)등이 포함됩니다. 주택의 공시지가, 면적, 위치 등에 따라 세액이 결정됩니다.
- 선박 : 일정 크기 이상의 선박에도 재산세가 부과됩니다. 선박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 항공기 : 항공기 소유자에게도 재산세가 부과됩니다. 항공기의 크기, 용도 등에 따라 세금이 달라집니다.
재산세 계산 방법
이렇듯 재산세는 다양한 재산에 부과되는 것을 알았습니다. 계산 방법과 세율도 재산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재산세 = 과세표준 x 세율
1. 과세표준 : 세금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이 금액은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과세표준 = 시가표준액(재산의 시장 가격) x 공정시장가액비율
시가표준액 | 공정시장가액비율 | |
토지 | 공시지가 | 70% |
건축물 | 시가표준액 | 70% |
주택 | 공시가격 | 60%(2022년부터 1세대 1주택자는 45% 이하 적용) |
2. 세율 : 재산 종류별로 세금 비율이 다릅니다.
종류 | 세율 | |
건축물 | 골프장, 고급오락장용 | 4% |
주거지역 내 공장 | 0.5% | |
주택 |
별장 | 4% |
기타주택 6천만원 이하 |
0.1% | |
6천만원 초과~1억5천만원 이하 | 6만원 + 6천만원 초과 금의 0.15% | |
1억5천만원 초과 ~ 3억원 이하 | 19만5천원 + 1억5천만원 초과 금의 0.25% | |
3억원 초과 | 57만원 + 3억원 초과 금의 0.4% |
예를 들어, 주택의 과세표준이 6천만 원이라면, 세율 0.1%를 적용하여 재산세를 계산합니다.
재산세 = 과세표준 x 세율
= 6천만 원 x 0.1%
= 6만 원
이렇게 과세표준과 세율을 사용하여 재산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은 재산의 가치를 나타내고, 세율은 이 가치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의 비율을 정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4.07.25 - [분류 전체보기] - 재산세의 납세 의무자와 비과세 대상 쉽게 이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