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한국에 끼친 영향

    우리가 영화나 미디어에서 자주 등장하는 미국의 전형적인 주택은 대부분 2층 구조로 되어있고, 마당이 함께 있는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주택 구조는 미국의 주거 문화와 생활 스타일을 반영한 것으로, 가족 구성원 간의 공간 분리와 프라이버시 보호, 그리고 야회 활동을 즐기는 문화 등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미국식 주택 구조는 우리나라에서도 상당히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단독주택이 미국의 주택 형태를 모델로 삼아 발전해 왔기 때문입니다. 특히 우리나라가 1960년대부터 빠른 속도로 도시화와 산업화를 겪으면서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대규모 주택공급이 필요해졌으며, 이 때문에 미국 스타일의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등이 많이 지어졌습니다. 미국 주택의 내부와 외부를 보면 그들의 생활 방식과 문화가 반영되어 있어서 친근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내부 인테리어는 대체로 깔끔하고 모던한 디자인으로 꾸며져 있으며, 특히 각 공간의 기능에 따라 필요한 가구와 소품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거실에는 소파와 TV가 있어 가족 구성원이나 친구들과 함께 휴식을 취하거나 대화를 나누는 공간으로 사용되며, 주방에는 식탁과 냉장고가 있어 음식을 준비하고 식사를 하는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침실에는 침대와 옷장이 있어 개인의 시간을 보내는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의 주택에서는 한국만의 특징도 살려 있습니다. 전통적인 난방 방식인 온돌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바닥이 따뜻하게 유지됩니다. 또한 실내에서 신발을 벗고 생활하는 것도 우리나라의 주거 문화를 반영한 것입니다. 이는 청결을 유지하고, 바닥에서 오는 따뜻함을 직접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미국의 2층 단독주택
    미국식 주택

    실내인테리어 특징

    우리나라와 다른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는 실내 바닥 전체에 접착식으로 카펫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청소가 어렵고 위생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겨울에는 따뜻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벽에 설치된 히터나 벽난로로 난방하기 대문에 바닥에서 올라오는 냉기를 차단해 줍니다. 이 카펫은 물 흘림이나 반려동물의 소변을 대비하여 방수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또한, 층고가 높아 좁은 공간도 넓고 쾌적하게 느껴집니다. 개방감이 좋고, 넓은 벽을 활용하기도 좋습니다. 거실이나 방을 보면, 천장에 조명기구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명과 스위치가 없어 천장과 벽이 깔끔하고 단정합니다. 필요한 조명은 스탠드로 준비하고 여러 곳에 두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빛색깔은 밝은 주광색이 아닌 전구색을 선호하는 것도 특징입니다. 욕실을 보면 욕조, 세면대, 변기에는 배수구가 있지만 바닥에는 배수구가 없습니다. 따라서 욕조에서 샤워를 할 때는 물이 많이 튀어 샤워 커튼을 꼭 사용해야 합니다.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샤워커튼이 많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집 안에서는 지하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연결 통로가 있습니다. 지하는 서늘하고 온도가 일정하여 저장식품이나 창고로 사용됩니다. 재난 시에는 대피공간으로도 활용됩니다.

    참고해야 할 규범

    미국만의 주택 규범으로 인해 한국과 차별되는 특징도 있습니다. 단독주택을 '싱글 하우스'라고 부르며, 집을 둘러싸고 백 야드가 있습니다. 백 야드에는 잔디를 심고 관리합니다. 봄이 되면 잔디가 본격적으로 자라기 시작하는데, 너무 길거나 잡초가 많으면 신고가 들어와 관리해야 할 것을 알리는 우편이 올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매주 잔디 깎기 기계로 관리를 해줘야 합니다. 아파트의 경우에는 세탁기와 건조기가 각 세대에 설치할 수 없어 공동 세탁실을 사용해야 합니다. 각 세대에 세탁기 설치는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가 다릅니다. 미국은 ft(피트)를 길이 단위로 사용하기 때문에 면적을 계산할 때 변환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기본 평수를 33평으로 봤을 때 미국은 1200평방 피트에 해당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미국에서 집을 알아보는 경우가 많으니 중요한 주택 규범은 참고하시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